전체 글200 2월 선생님은 2월을 싫어하셨다. 겨울도 아닌 것이, 봄도 아닌 것이... 나도 이젠 선생님의 마음을 조금은 알 것 같다. 그 2월도, 이제 곧 끝난다. 의미가 있을까? 2월이 끝나면, 뭔가 새로운 것이 찾아 올까? 3월이 아닌 다른? 깊은 의미부여는 때론 나를 지치게 하지. 의미 없는 것에서 의미를 찾기 보다, 본래의 의미를 의미 없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나를 비롯한 현재의 우리들은, 더 익숙한게 아닐까. 2월. 이맘때 쯤이면, 생각나는 선생님의 말씀. 선생님은 지금쯤 어디에서, 어떤 2월을 보내고 계실까. 건강하세요. 조만간, 꼭 연락드리겠습니다. 2014. 2. 25. [뻘짓] 건전지 가격에 대한 고찰 디지털 카메라에 쓸 '건전지'가 필요해서, 근처 편의점으로 향했다. 그리고 아무 생각 없이, 듀라셀 AA건전지 4개와 스프라이트 한 병을 집었다. 문제의 듀라셀 건전지... 그런데... 가격이;;; 듀)울트라AA4입 의 항목에 주목하라. 6,150원!!! 비싸!!! 다음은 편의점 알바생과 나눈 일문일답... 실제로 내가 이랬다는 건 아니다... 나 : 아휴, 건전지가 왜 이렇게 비싸요..? (제시카) 알바 : 그러게요, 대다수 손님들도 다 그렇게 말씀하세요; 그렇다. 나만 건전지 가격이 비싸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었던 거다.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봤다. 출처 : 몰라 빡치는데, 인터넷이겠지. ㅋ.. ㅋㅋ ㅋㅋㅋㅋㅋ . . . . . . . . . . . . 결론 : 건전지는 정 급하지 않으면, 인터넷이.. 2013. 6. 26. [비교열전] Earth, Wind & Fire - After The Love Has Gone 프롤로그... 퇴근 후 피곤하게 누워있는 형에게 내가 물었다. 나 : "형! 요즘 Earth, Wind & Fire, 뭐하는 줄 알아?" 형 : "아니~~" 나 : "나도 몰라~" 뭐 어쨌든... 시작해보자. Earth, Wind & Fire (이른바, "지,풍,화") 출처 : http://royayersproject.com/2012/12/earth-wind-fire-head-sky-1973/ 삼성 갤럭시 노트의 광고음악, September로 우리에게 익숙한 그룹이다. 한번 감상해보자. 어렸을 때, 이 노래를 "두 유 리멤바~ 투에니포쎄븐 개고기~" 라고 개사해서 불렀던 기억이 난다. 자, 이제 "아!!" 하고 딱 감이 잡히시는가? 그렇다. 이 분들이시다. 해외에선 꽤나 유명하신 분들이다. Top 10 .. 2013. 6. 25. '구구, 구구' '구구, 구구' '구구, 구구' 외삼촌의 주말농장에서 만난 닭. 사진으로만 봐선 잘 모르겠지만, 정말 컸다. 저 닭으로 프라이드 치킨을 만든다면 두마리 반 분량은 나올 정도로; '구구, 구구' 하니깐 무섭게 날 따라오던 저 닭의 모습이 생각난다. 이후 큰 닭이 먹고 싶을 때 난 외치곤 한다. '구구, 구구'. 이 마법의 주문을, 당신들도 한 번 외쳐보길 바란다. 2013. 6. 24.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하) 바로가기 :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상)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중) 우연히 발견한 마셜에게서 배울 중요한 경제적 개념이 하나 있다. 이 그것이다. 이 말은 경제학에서 대단히 자주 사용되는 기초적인 개념이다. 탄력성에 대한 몇 가지 개념을 살펴보자. * 수요의 가격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demand) : 어떤 재화에 대한 수요가 그것의 가격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 * 수요의 소득탄력성 (Income elasticity of demand) : 어떤 재화에 대한 수요가 소비자의 소득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 이처럼 탄력성이라는 말은 수요와, 수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격이나 소득과의 관계를.. 2013. 6. 24.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중) 바로가기 :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상) 한계수확체감의 법칙 한계수확체감의 법칙은 개념적으로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동일하다. 다만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소비자를 중심으로 소비와 효용의 관계를 다룬 것이라면 한계수확체감의 법칙은 자본가를 중심으로 생산과 효용의 관계를 다룬 것이 다르다. 자본가의 목표는 오로지 이윤이다. 마르크스는 자본가도 자본주의 사회의 희생자라고 주장했는데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이윤 창출 메커니즘에서 자본가가 전혀 자유롭지 않다는 데 근거했다. 즉 노동자가 자본주의 사회의 거대한 부속품인 것처럼 자본가도 오로지 부속품으로서 이윤 창출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윤을 목표로 하는 자본가는 생산에 투여하는 생산요소도 이윤의 관점에서 바.. 2013. 6. 24.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