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계 다국적 기업 임원들중 50% 이상이 스톡옵션으로부터 상당 부분 이상의 보상을 받고 있다. 실제로, 1억 달러에 상응하는 가치의 스톡옵션 부여는 더이상 특별한 것이 아니다. 만기가 도래하는 스톡옵션의 행사로 단 1년 만에 5억 달러에 가까운 현금을 손에 쥐게 된 경영자들도 있다.
이들은 처음부터 차곡차곡 부를 쌓아가는 혈기왕성한 젊은 경영자가 아니라 무덤에나 가면 알맞을 종신 관리자들이다.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경영자는 새로운 부를 창출하기 위해 더욱 열심히 일할 것이라는 이론이 실제의 현실과 상당한 괴리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자산이 스톡옵션에 묶여 있기 때문에 최고경영진은 자신의 지분을 분산시킬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기업의 지분을 많이 보유하는데 따르는 위험을 쉽게 상쇄하지 못하며, 따라서 많은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경영자가 여러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일반 투자자들보다 훨씬 더 보수적이며 단기 지향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순가치가 한 종류의 주식에 달려 있기 때문에, 퇴직이 얼마 안 남은 경영자일수록 주가를 올리기 위해 위험이 낮은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자사주 매입이 불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훨씬 더 안전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S&P 500대 기업, 또는 다른 지표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스톡옵션은 기업의 상대적인 성과와 연동되어 있지 않다. 1998년도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상당한 규모의 스톡옵션이 부여된 209개 기업들 중 단지 36개 기업만이 의도했던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a) 자사의 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에서도 평균 이하의 성과를 내는 기업이 존재했다. 설상가상으로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옵션의 가격을 조정할 수 없는 외부 투자자들은 경영진의 무능 때문에 손해를 보게 된다. 돈방석에 앉은 경영자들에게 우호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월스트리트 저널' 조차도 "회사가 어떻게 되느냐에 상관없이 최고경영자는 확실히 부자가 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b)
소수의 보상위원회는 옵션이 행사되기 이전에 달성해야 할 주가의 상한선을 정해놓기도 한다. 레벨 3 커뮤니케이션(Level 3 Communication)은 자사의 주가가 S&P 500 주가지표를 상회하는 한도 내에서만 행사가 가능한 스톡옵션을 최고경영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제너럴 밀즈(General Mills)는 옵션을 행사할 시점에 경영자들이 매입한 대부분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c)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내는 법칙이 진행중에 있다. 스톡옵션은 최고 경영자가 기업의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유도하기보다는 자사주 매입, 분사 및 초대형 합병 같은 단기 지향, 한탕주의를 추구하게 만들고 있다. 많은 경영자들이 장기적인 관점을 갖고 주주들을 위해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부를 축적하기 위한 단기적인 관점으로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다.
a. Joann S. Lublin, "Lowering the Bar", Wall Street Journal, 8, April 1999.
b. Ibid.
c. Tamar Hausman, "Predictiong Pay", Wall Street Journal, 8, April 1999.
게리 해멀 (2000). Leading the Revolution. 이동현 역(2001), <꿀벌과 게릴라> 세종서적 80~81p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 이성 더운 가슴" -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상) (0) | 2013.06.24 |
---|---|
사과와 오렌지 - 부적절한 비교 (0) | 2013.06.24 |
이타주의의 기원 - 게임 이론과 생물학 (하) (0) | 2013.06.24 |
이타주의의 기원 - 게임 이론과 생물학 (중) (0) | 2013.06.24 |
이타주의의 기원 - 게임 이론과 생물학 (상) (0) | 2013.06.24 |